[사범교육] 만남의 미학 전인 교육의 이념 / 2. 전인 교육의 이념 2 1. 인류의 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7:56
본문
Download : 만남의 미학 - 전인교육의 이념.hwp
모든 것이 대응적인 논리구성이 이루어지는데요. 이런 의미에서 싯달타의 교육 theory 들은 우리 교사들이 굉장히 깊이 음미해야 할 대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어쨌건 기독교의 核心은 하나하나의 생명에 대한 사랑과 하나님이 주신 생명에 대한 애정, 생명 존중, 바로 이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두더쥐인 농민들에...
사범교육 만남의 미학 전인 교육의 이념 / 2. 전인 교육의 이념 2 1. 인류의 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2. 전인교육의 이념 2-1. 인류의 네 스승들의 인간교육 논리(공자, ...





순서
[사범교육] 만남의 미학 전인 교육의 이념 / 2. 전인 교육의 이념 2 1. 인류의 네
다. 페스탈로찌는 인간 교육의 논리를 주창했다는 측면에서 그러합니다. 어린이들에게 삶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냐, 이런 것도 가르칠 줄 알아야 합니다. 몸을 닦는 것이 먼저이고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인간은 어디에서 왔고 무엇 때문에 살며, 무엇을 위하여 사는가, 이 세 가지를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는 것이 진정한 교육이자 종교라고 했습니다. 싯달타는 인간이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며, 무엇 때문에 사는가라고 질문하면서 삶을 오리엔티이션시켰습니다. 그 당시 농민들은 단지 일하는 기계이고, 두더쥐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다른 말로 하면 삶의 오리엔테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불교의 核心적인 논리는 삶의 오리엔테이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알기 쉬운 비유를 많이 써서, 즉 갈리아 호수의 무식꾼, 농부, 어부들도 다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씀하셨다는 측면에서 그러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고 했습니다. 공중에 나는 새를 보라,고 스타트하는 말씀을 보면 알 수 있듯이요. -2. 전인 교육의 세 선구자 (이퇴계, 페스탈로찌, 아놀드) 이퇴계는 선비정신의 배양이라는 측면에서 전인 교육의 선구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우리나라의 교육theory 들이 인류의 몇 천년의 역싸로부터 자양분을 얻어서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은 교육사에서도 위대한 교사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일깨움을 통해서 자기 삶을 점검시켰습니다.
2. 전인교육의 이념 2-1. 인류의 네 스승들의 인간교육 논리(공자, ...
Download : 만남의 미학 - 전인교육의 이념.hwp( 89 )
2. 전인교육의 이념 -1. 인류의 네 스승들의 인간교육 논리(공자, 싯달타, 예수, 소크라테스) 간략하게만 말씀드린다면, 공자는 수신제가 연후에 치국평천하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