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1:20
본문
Download : 측정.hwp
따라서 양적 측정(測定) 에 의하여 부여된 숫자는 가감승제의 대상이 될 수 있따 여기에는 서열측정(測定) , 등간측정(測定) , 비율측정(測定) 이 있따
순서
4. 비율측정(測定) (ratio measurement)
변수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測定) 의 방법은 질적 측정(測定) 과 양적 측정(測定)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따
○ 연구주제나 내용을 과학주의에 의해서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확하게 가설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명목측정(測定) 은 측정(測定) 대상을 상호 배타적인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이용된다 상호 배타적인 분류란 모든 개개의 측정(測定) 대상을 어느 한 집단에 속하도록 분류할 수 있어야 하며, 동일한 집단에 속해 있는 대상은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하고, 하나의 대상이 두 개의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확하게 가설을 구성한다는 것은 연구주제를 현실의 경험사회에서 검증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부여된 숫자는 단순히 분류목적이나 구분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된 것에 불과하고 그 자체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Ⅱ. 측정(測定) 의 수준(방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측정, 척도, 변수, 명목측정, 서열측정
2. 서열측정(測定) (ordinal measurement)
설명
`측정`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 학번, 차량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시내버스노선번호, 운동선수의 등번호
명목측정(測定) 은 질적 측정(測定) 으로서, 측정(測定) 대상의 속성 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대표적인 것이 명목측정(測定) 이다.





② 양적 측정(測定)
가설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나 개념의 값을 숫자 대신에 레벨이나 이름 등을 부여하여 조작하는 방법이다.
Ⅱ. 측정(測定) 의 수준(방법)
1. 명목측정(測定) (nominal measurement)
다.
1. 명목측정(測定) (nominal measurement)
[조사방법론] 측정(measurement)
개념이나 변수값에 숫자를 부여하여 조작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측정(測定) 이란 양적 측정(測定) 을 의미한다.
① 질적 측정(測定)
Ⅰ. 측정(測定) 의 의의
Download : 측정.hwp( 50 )
3. 등간측정(測定) (interval measurement)
가설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가설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변수의 내용을 검증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the gist적인 작업이 측정(測定) 이기 때문이다
2. 측정(測定) 값의 차이가 나는 原因에 따른 구분
1. 측정(測定) 방법에 따른 구분
Ⅲ. 측정(測定) 의 종류
[목차]
Ⅰ. 측정(測定) 의 의의
○ 측정(測定) (measurement)이란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변수간의 관계를 진술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각 변수들의 내용을 현실사회에서 측량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작업이다. [본문일부]
`측정(measurement)`에 상대하여 일목요연하게 설명(說明)하고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