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심의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18:24
본문
Download : 한국 영화심의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hwp
우리나라 영화심의기준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공연 윤리 위원회는 심의 기준에 해당하는 영화에 대하여는 심의필한 것으로 결정하지 못하며 다만 해당 부분을 삭제하여도 상영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 부분을 삭제하고 심의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했고(영화법 제13조), 본심을 통과한 영화는 합격과 제한 합격 그리고 불합격으로 분류했다. 위원회는 또한 심의 등급을 …(省略)
다.
순서



우리나라 영화심의기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우리나라의영화심의기준에대한법적검토1 , 한국 영화심의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경영경제레포트 ,
우리나라의영화심의기준에대한법적검토1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한국 영화심의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hwp( 14 )
한국 영화심의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1. 들어가며
2. 영화진흥법 검토
3. 심의 기준에 대한 검토
4. 마치며
1. 들어가며
공연법 제25조 3항에 의해 1976년에 발족된 공연 윤리 위원회는 영화, 비디오, 연극, 가요, 새영상물, 광고물 등의 공연물 심의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져 왔다. 영화는 예고편을 포함하여 그 상영 전에 공륜의 심의를 받아야 하며 심의를 필하지 아니한 영화는 이를 상영하지 못하도록 했다(영화법 제12조). 1989년 1월부터는 수입 심의와 본 심의를 구분하여 심의해 왔으며 수입 영화는 수입 심의를 거친 후 본 심의를 받고 한국 영화는 바로 본 심의를 받도록 했다. 심의 기간도 수입 심의는 10일, 본 심의는 4일로 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