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의 사소통의 기법 및 의 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plan /의 사소통의 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2:09
본문
Download :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hwp
노
환 류 →
→ ‘Johari의 창’ (Johari Window Joseph luft와 Harry ingham에 의해서 개발된 理論(이론))
○ 맹목적 영역 (blind area) 자신은 타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만 자기 스스로는 잘 모로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타인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opinion을 알지 못할 때에는 이 부분이 더 넓어져 의사소통에서 자신의 주장을 앞세우고 타인의 opinion은 불신하고 비관하여 수용하지 않는 영역이다. 즉, 서로 잘 알고 있는 개방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영역이다.
Download :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hwp( 92 )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方案)
출개방적 영역(민주형)
- Reece와 Brandt는 대인간의 의사소통 유형을 독단성의 높고 낮음과 ...
자
„. 대인 간 의사소통 유형
(Blind)타인에게 알려진 영역잠재적 영역(과묵형)
○ 잠재적 영역 (hidden area) 자신은 스스로를 잘 알고 있지만 타인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은 사람의 Johari의 창은 과묵형이 될 것이다. 이 경우 타인이 취하는 자신에 대한 反應(반응)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에게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된다.
(Unknown)타인에게 알려지지 않은 영역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plan 1. Johari의 ...
(Open)맹목적 영역(독단형)
다.
ƒ. Johari의 창
레포트 > 기타
(Hidden)미지적 영역(폐쇄형)
○ 개방적 영역 (open area) 자신에 관한 정보가 자신이나 타인에게 잘 알려져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신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지도 않을 것이며, 타인의 피드백을 받지도 못할 것이다.설명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104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6%91%5D%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A%B8%B0%EB%B2%95%20%EB%B0%8F%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C%9E%A5%EC%95%A0%20%EC%9A%94%EC%9D%B8%EA%B3%BC%20%EA%B7%B9%EB%B3%B5%EB%B0%A9%EC%95%88-1049_01.gif)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104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6%91%5D%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A%B8%B0%EB%B2%95%20%EB%B0%8F%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C%9E%A5%EC%95%A0%20%EC%9A%94%EC%9D%B8%EA%B3%BC%20%EA%B7%B9%EB%B3%B5%EB%B0%A9%EC%95%88-1049_02_.gif)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104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6%91%5D%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A%B8%B0%EB%B2%95%20%EB%B0%8F%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C%9E%A5%EC%95%A0%20%EC%9A%94%EC%9D%B8%EA%B3%BC%20%EA%B7%B9%EB%B3%B5%EB%B0%A9%EC%95%88-1049_03_.gif)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1049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6%91%5D%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A%B8%B0%EB%B2%95%20%EB%B0%8F%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C%9E%A5%EC%95%A0%20%EC%9A%94%EC%9D%B8%EA%B3%BC%20%EA%B7%B9%EB%B3%B5%EB%B0%A9%EC%95%88-1049_04_.gif)
![[교양]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1049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6%91%5D%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A%B8%B0%EB%B2%95%20%EB%B0%8F%20%EC%9D%98%EC%82%AC%EC%86%8C%ED%86%B5%EC%9D%98%20%EC%9E%A5%EC%95%A0%20%EC%9A%94%EC%9D%B8%EA%B3%BC%20%EA%B7%B9%EB%B3%B5%EB%B0%A9%EC%95%88-1049_05_.gif)
[교양]의 사소통의 기법 및 의 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plan /의 사소통의 기
- 대인관계의 유형을 설명(explanation)하는 理論(이론)으로 대표적인 것
순서
의사소통의 기법 및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방안 1. Johari의 ...
기
교양의 사소통의 기법 및 의 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의 사소통의 기
○ 미지적 영역 (unknown area) 자기 스스로와 타인에게 모두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은 사람의 Johari의 창은 민주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의 Johari의 창은 폐쇄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의 Johari의 창은 과묵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