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06:35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hwp
그런데 만약 실천하…(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1.gif)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2.gif)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3.gif)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4.gif)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5.gif)
![[사회과학]%20홍대용의%20청장년%20시기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9%8D%EB%8C%80%EC%9A%A9%EC%9D%98%20%EC%B2%AD%EC%9E%A5%EB%85%84%20%EC%8B%9C%EA%B8%B0_hwp_06.gif)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위의 내용만 보아도 홍대용의 업적과, 인간상을 엿볼 수 있다
권력 지향적인 조선의 유학자 사회에서 저렇게 자연과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탐구한 ‘홍대용’은 과연 누구 일까?
담헌 홍대용(湛軒 洪大容, 1731~83) 그는 조선 영?정조 시대의 실학자로 유명하다. 서양 사람들이 처음 지구에 대하여 논할 때 지구가 돈다는 것을 말하지 못했는데, 德保는 일찍이 지구가 한 번 돌면 하루가 된다고 하여 그 학설이 묘하고 그윽하고 깊었다.”
위의 글은 연암 박지원이 홍대용을 위하여 쓴 묘지명이다.사회과학,홍대용,청장년,시기,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hwp( 37 )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
홍 대 용
1) “德保는 통달하고 겸손하고 식견이 원대하고 이해가 정밀하고 자세하며, 더욱이 음악과 수학, 천문에 뛰어나 혼천의(渾天儀) 같은 여러 기구를 만들었으며, 사려가 깊고 한 가지 일에 정신을 쏟아 남다른 독창적인 기지가 있었다. 다만 책을 쓰기에까지 이르지 못했으나 그 만년에는 더욱 지구가 돈다는 것에 자신을 가졌으며 이에 대하여 조금도 의심이 없었다. 하지만 18C 조선은 그 실천성을 현저히 잃어가고 있었다. 그가 당시 지식계를 비판한 것은 그가 어릴 적 수학하던 석실서원의 선배 학자인 김종후에게 보낸 편지 내용에서 잘 살펴볼 수 있다
“ 어려서 배우고 커서 실천하는 것이 유학자의 본마음입니다. 즉 교육을 통해 각 개인의 인격적 완성을 이루고 그들의 개인적?사회적 실천을 통해 사회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것이다.
설명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홍대용 청장년 시기
순서
[사회과학]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
다. 그저 과거 합격을 위한 공부나 시와 문장 짓기에 몰두하는 실정이였다. ‘수신’이라는 개인의 인격적 수양이 ‘제가’라는 가족 공동체의 차원, ‘치국평천하’라는 사회?국가 공동체의 차원으로 확장되어 실천되고 실현돼가는 논리 구조이다. 그는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나아갔지만 과거 공부에는 뜻을 두지 않고, 2)古學과,實學을 지향하였다. 홍대용이 古學과 實學을 왜 지향 했을까?
유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학문이라고 일컬어진다.